지리산 둘레길
지리산을 원형으로 아우르는 지리산 둘레길. 총 300여km, 국내 최초의 장거리 도보길로 2011년에 완성을 앞두고 있다
지리산길 안내센터 (Jirisan Trail Information Center)
전북 남원시 인월면에 자리하고 있는 지리산길 안내센터는 지리산길을 찾는 이들에게지도와 안내책자 제공,지역정보 제공, 영상 상영,체험 프로그램 소개와 더불어다양한 주제를 담은 전시도 진행하고 있습니다.이곳은 또한 지역교류의 장이자지리산길을 찾는 이들의 쉼터입니다.안내센터는 지리산을 바라보며,걸어가는 지리산길 여정에안전하고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이용시간 : 오전 9:30 - 오후 18:00 (점심시간 : 12:30 - 13:30)
휴무 : 매주 월요일
전북 남원시 인월면 인월리 198번지 (590-843)
전화> 063-635-0850
전송> 063-635-1946
지리산을 바라보며 걷는 길
지리산 생태보전운동, 지리산권 주민들과 함께 희망을 찾는 대안운동을 펼쳐온 ‘지리산생명연대(www.myjirisan.org)’가 2007년 설립한 ‘사단법인 숲길’이 지리산 자락 마을과 마을을 이어주던 옛길의 흔적을 되살려 지리산길을 잇고 보전하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지리산길은 지리산 둘레 3개도(전북, 전남, 경남), 5개시군(남원, 구례, 하동, 산청, 함양) 16개읍면 80여개 마을을 잇는 300여km의 장거리 도보길입니다. 2011년까지 각종 자원 조사와 정비를 통해 지리산 곳곳에 걸쳐 있는 옛길, 고갯길, 숲길, 강변길, 논둑길, 농로길, 마을길 등을 환(環)형으로 연결하여 길을 완성할 예정입니다.
[교통]
8:20 동서울 터미널(지리산백무동행)-인월까지 18,300원
11:50 인월 터미널 도착
12:20 인월에서 매동마을 가는 버스 1,100원
12:35 매동마을 하차
[코스설명 및 지도]
<지리산 둘레길> 800 리 (320Km) 중 1차로 “50리 구간”이 개통



1구간 인월-금계 10.68km
http://www.trail.or.kr/map/spot/23/?is_print=503
(전북 남원 매동마을~ 경남 함양 금계마을, 약 10.68km)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인월리와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를 잇는 19km의 지리산길. 시범구간은 지리산북부의 전북 남원과 경남 함양을 잇는 옛 고갯길 등구재를 중심으로 지리산 주능선을 조망하고, 넓게 펼쳐진 다랑논과 6개의 산촌 마을을 지나 엄천강으로 이어지는 길이다.구간별 주요 지명 : 인월면 - 중군마을 - 수성대 - 배너미재 - 장항마을 - 장항교 - 삼신암 삼거리 - 등구재 - 창원마을 - 금계마을인월-금계 구간은 제방길, 농로, 차도, 임도, 숲길 등이 전 구간에 골고루 섞여 있다. 또한 제방, 마을, 산과 계곡을 고루 즐길 수 있으며 2008년 기개통 구간이 포함되어 있어 이미 널리 알려진 구간이다
<다락논 길>
서울출발 - 지리산길 안내센터 도착(인월) -매동마을 출발(해발350m) - 등구재(해발620m) - 창원마을 도착( 해발355m, )
* “다락논”이란 계단식 논의 이 지방 사투리입니다.
* 등구재는 전라북도와 경상남도의 경계입니다.
* “지리산 빨치산“ 을 이 곳 사람들은 산 사람 이라고 불렀습니다.
* 벽송사는 “지리산 빨치산“의 야전병원 이었던 곳입니다.
* 벽송사 뒷산에는 총을 든 “지리산 빨치산“의 목각인형 이 등산로 옆에 있었습니다.
* 송대마을은 상처를 보듬고 사는 부처 마을입니다.
지리산 깊은 산중 일곱 가구가 흩어져 살고 있는 화전 마을입니다.
6. 25 전쟁 때 빨치산의 식량공급처 이자 은신처 였던 곳입니다.
좌 우익의 갈등 속에 깊게 난 상처를 보듬듯, 이 마을 뒤편 능선에는 자연 와불이 누워 있었습니다.

2구간 금계-동강
15km http://www.trail.or.kr/map/spot/136/?is_print=503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와 함양군 휴천면 동강리를 잇는 15km의 지리산길. 이 구간은 지리산 자락 깊숙히 들어온 6개의 산중 마을과 사찰을 지나 엄천강을 만나는 길이다.구간별 주요 지명 : 금계마을 - 의중마을 - 서암정사 - 벽송사 - 벽송사 능선 - 송대마을 - 세동마을 - 운서마을 - 구시락재 - 동강마을금계동강 구간은 사찰로 가는 고즈넉한 숲길과 등구재와 법화산 자락을 조망하며 엄천강을 따라 걷는 임도 등으로 구성된다.유의사항벽송사~ 소나무쉼터까지의 구간은 단체이용객들의 무분별한 농작물 채취 등, 주민피해가 빈번한 관계로 미개통'구간이니 통행하실 수 없습니다.
<산사람 길>
창원마을 출발 - 금계마을(해발250m) - 서안정사(석굴) - 백송사(해발550m) - 송대마을 도착( 해발500m) - 자동차 길(해발250m)

동강-수철 11.9km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동강리와 산청군 금서면 수철리를 잇는 12km의 지리산길. 이 구간은 아름다운 계곡을 따라 걸으며 산행하는 즐거움을 누리며 걷는 산길로, 4개의 마을을 지나 산청에 이르는 길이다.구간별 주요 지명 : 동강마을 - 점촌마을 - 방곡마을 - 상사폭포 - 쌍재 - 고동재 - 수철마을
http://www.trail.or.kr/map/spot/135/?is_print=503

운봉-주천 14.3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장안리 외평마을과 남원시 운봉읍 서천리를 잇는 14km의 지리산길. 본 구간은 지리산 서북 능선을 조망하면서, 해발 500m의 운봉고원의 너른 들과 6개의 마을을 잇는 옛길과 제방길로 구성된다.구간별 주요 지명 : 운봉읍 - 옛 양묘장 - 행정마을 - 서어나무숲 - 가장마을 - 질미재 - 덕산저수지 - 노치마을 -회덕마을 - 구룡치 - 솔정자 - 내송마을 - 주천면 운봉-주천구간은 옛 운봉현과 남원부를 잇던 옛길이 지금도 잘 남아있는 구간이다. 특히 10km의 옛길 중 구룡치와 솔정자를 잇는 회덕~내송까지의 옛길(4.2km)은 길폭도 넉넉하고 노면이 잘 정비되어 있으며 경사도가 완만하여 아이를 동반한 가족들이 솔숲을 즐기기에 더할 나위없이 좋다 http://www.trail.or.kr/map/spot/22/?is_print=503

인월-운봉 9.4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동천리와 남원시 인월면 인월리를 잇는 10km의 지리산길. 본 구간은 왼쪽으로 바래봉, 고리봉을 잇는 지리산 서북능선을 조망하고 오른쪽으로는 고남산, 수정봉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을 바라보며 운봉고원을 걷는 길로 옛 통영별로 길과 제방길로 구성된다.구간별 주요 지명 : 인월면 - 월평마을 - 흥부골자연휴양림 - 군화동 - 비전마을 - 신기마을 - 북천마을 - 서림공원 - 운봉읍인월-운봉구간은 너른 운봉들녘을 따라 지리산 서북능선과 백두대간을 조망하며 호쾌하게 걸을 수 있는 길이다. 10km 전 구간이 제방길과 임도로 되어 있어 길 폭이 충분히 넓어 여럿이 함께 걷기에 좋은 평지길이고, 황산대첩비, 국악의성지, 송흥록 생가 등 문화적이고 역사적인 요소들을 골고루 즐기면서 걷기에 좋은 곳이다.
http://www.trail.or.kr/map/spot/20/?is_print=503

[교통]
8:20 동서울 터미널(지리산백무동행)-인월까지 18,300원
11:50 인월 터미널 도착
12:20 인월에서 매동마을 가는 버스 1,100원
12:35 매동마을 하차
[코스설명 및 지도]
<지리산 둘레길> 800 리 (320Km) 중 1차로 “50리 구간”이 개통
1구간 인월-금계 10.68km
http://www.trail.or.kr/map/spot/23/?is_print=503
(전북 남원 매동마을~ 경남 함양 금계마을, 약 10.68km)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 인월리와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를 잇는 19km의 지리산길. 시범구간은 지리산북부의 전북 남원과 경남 함양을 잇는 옛 고갯길 등구재를 중심으로 지리산 주능선을 조망하고, 넓게 펼쳐진 다랑논과 6개의 산촌 마을을 지나 엄천강으로 이어지는 길이다.구간별 주요 지명 : 인월면 - 중군마을 - 수성대 - 배너미재 - 장항마을 - 장항교 - 삼신암 삼거리 - 등구재 - 창원마을 - 금계마을인월-금계 구간은 제방길, 농로, 차도, 임도, 숲길 등이 전 구간에 골고루 섞여 있다. 또한 제방, 마을, 산과 계곡을 고루 즐길 수 있으며 2008년 기개통 구간이 포함되어 있어 이미 널리 알려진 구간이다
<다락논 길>
서울출발 - 지리산길 안내센터 도착(인월) -매동마을 출발(해발350m) - 등구재(해발620m) - 창원마을 도착( 해발355m, )
* “다락논”이란 계단식 논의 이 지방 사투리입니다.
* 등구재는 전라북도와 경상남도의 경계입니다.
* “지리산 빨치산“ 을 이 곳 사람들은 산 사람 이라고 불렀습니다.
* 벽송사는 “지리산 빨치산“의 야전병원 이었던 곳입니다.
* 벽송사 뒷산에는 총을 든 “지리산 빨치산“의 목각인형 이 등산로 옆에 있었습니다.
* 송대마을은 상처를 보듬고 사는 부처 마을입니다.
지리산 깊은 산중 일곱 가구가 흩어져 살고 있는 화전 마을입니다.
6. 25 전쟁 때 빨치산의 식량공급처 이자 은신처 였던 곳입니다.
좌 우익의 갈등 속에 깊게 난 상처를 보듬듯, 이 마을 뒤편 능선에는 자연 와불이 누워 있었습니다.
2구간 금계-동강
15km http://www.trail.or.kr/map/spot/136/?is_print=503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의탄리와 함양군 휴천면 동강리를 잇는 15km의 지리산길. 이 구간은 지리산 자락 깊숙히 들어온 6개의 산중 마을과 사찰을 지나 엄천강을 만나는 길이다.구간별 주요 지명 : 금계마을 - 의중마을 - 서암정사 - 벽송사 - 벽송사 능선 - 송대마을 - 세동마을 - 운서마을 - 구시락재 - 동강마을금계동강 구간은 사찰로 가는 고즈넉한 숲길과 등구재와 법화산 자락을 조망하며 엄천강을 따라 걷는 임도 등으로 구성된다.유의사항벽송사~ 소나무쉼터까지의 구간은 단체이용객들의 무분별한 농작물 채취 등, 주민피해가 빈번한 관계로 미개통'구간이니 통행하실 수 없습니다.
<산사람 길>
창원마을 출발 - 금계마을(해발250m) - 서안정사(석굴) - 백송사(해발550m) - 송대마을 도착( 해발500m) - 자동차 길(해발250m)
동강-수철 11.9km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동강리와 산청군 금서면 수철리를 잇는 12km의 지리산길. 이 구간은 아름다운 계곡을 따라 걸으며 산행하는 즐거움을 누리며 걷는 산길로, 4개의 마을을 지나 산청에 이르는 길이다.구간별 주요 지명 : 동강마을 - 점촌마을 - 방곡마을 - 상사폭포 - 쌍재 - 고동재 - 수철마을
http://www.trail.or.kr/map/spot/135/?is_print=503
운봉-주천 14.3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장안리 외평마을과 남원시 운봉읍 서천리를 잇는 14km의 지리산길. 본 구간은 지리산 서북 능선을 조망하면서, 해발 500m의 운봉고원의 너른 들과 6개의 마을을 잇는 옛길과 제방길로 구성된다.구간별 주요 지명 : 운봉읍 - 옛 양묘장 - 행정마을 - 서어나무숲 - 가장마을 - 질미재 - 덕산저수지 - 노치마을 -회덕마을 - 구룡치 - 솔정자 - 내송마을 - 주천면 운봉-주천구간은 옛 운봉현과 남원부를 잇던 옛길이 지금도 잘 남아있는 구간이다. 특히 10km의 옛길 중 구룡치와 솔정자를 잇는 회덕~내송까지의 옛길(4.2km)은 길폭도 넉넉하고 노면이 잘 정비되어 있으며 경사도가 완만하여 아이를 동반한 가족들이 솔숲을 즐기기에 더할 나위없이 좋다 http://www.trail.or.kr/map/spot/22/?is_print=503
인월-운봉 9.4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동천리와 남원시 인월면 인월리를 잇는 10km의 지리산길. 본 구간은 왼쪽으로 바래봉, 고리봉을 잇는 지리산 서북능선을 조망하고 오른쪽으로는 고남산, 수정봉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을 바라보며 운봉고원을 걷는 길로 옛 통영별로 길과 제방길로 구성된다.구간별 주요 지명 : 인월면 - 월평마을 - 흥부골자연휴양림 - 군화동 - 비전마을 - 신기마을 - 북천마을 - 서림공원 - 운봉읍인월-운봉구간은 너른 운봉들녘을 따라 지리산 서북능선과 백두대간을 조망하며 호쾌하게 걸을 수 있는 길이다. 10km 전 구간이 제방길과 임도로 되어 있어 길 폭이 충분히 넓어 여럿이 함께 걷기에 좋은 평지길이고, 황산대첩비, 국악의성지, 송흥록 생가 등 문화적이고 역사적인 요소들을 골고루 즐기면서 걷기에 좋은 곳이다.
http://www.trail.or.kr/map/spot/20/?is_print=503
'산행과 여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속 숨은 장소 (0) | 2009.11.20 |
---|---|
서울근교 당일치기 갈만한 곳 (0) | 2009.11.20 |
월출산 (0) | 2009.11.08 |
산행정보 사이트 (0) | 2009.11.04 |
아름다운 지리산길 10선 (0) | 2009.11.01 |